Linux45 Package 관리-2 (Source, 스크립트, Ncloud) 이전에 이어서 package 관리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. 목차 package 관리-1 1. yum 설치 2. rpm 설치 package 관리-2 3. source 설치 4. Bash shell 스크립트 작성 package 관리-3 5. local Repository > 장점 : 설치 위치나 필요 lib 같은 모듈을 선택 가능한 등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. 최신버전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. 단점 : 너무너무 어렵다. update 전에 구성파일과 데이터파일을 백업할 필요가 있다. 다시 설정 파일과 데이터 파일을 해당 위치로 저장해야 한다. source 설치 3단계 1. 환경설정 : 설치 위치나 연관된 패키지 또는 lib 지정 # ./configure --prefix=설치경로 --with-패키지명=경로 --.. 2022. 11. 7. Package 관리-1 (yum, RPM) package 관리에 관한 내용을 시작합니다. 목차 package 관리-1 1. yum 설치 2. rpm 설치 package 관리-2 3. source 설치 4. Bash shell 스크립트 작성 package 관리-3 5. local Repository package CentOS와 같은 Redhat 계열은 package 관리에 rpm (Redhat package Manager)을 사용한다. (Debian은 deb 를 쓴다 ( Ubuntu, Android 등)) 1. yum(Yellodog Update Modified) (centOS 8,9버전에선 dnf라는 명령어로 사용) 인터넷상의 저장소(repository)에서 패키지를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는 방식 단점 : 최신버젼보다는 안정화된 버젼을 사용한다. .. 2022. 11. 2. storage 관리-3 (Quota)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Linux Storage(디스크) 관리에 관한 내용을 이어 갑니다. 목차 storage 관리-1 0. VMware 하드 추가 1. partition 2. file system (포멧) 3. mount storage 관리-2 4. LVM 5. VMware 머신 생성 시 파티션 설정 storage 관리-3 6. Quota quata - 최상위 디렉터리에있는 홈디렉터리안에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게되면 특정 사용자가 운영체제가 설치된 HDD의 모든 메모리를 사용할수 있게된다. - 운영체제가 설치된 HDD의 메모리가 부족하게되면 System이 down되거나 특정 Process가 down될 수 있다. - 그래서 사용자 계정은 OS가 설치된 Patition에 생성하지 않고 별도의 Patition을.. 2022. 11. 1. Storage 관리-2 (LVM)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Linux Storage(디스크) 관리에 관한 내용을 이어 갑니다. 목차 storage 관리-1 0. VMware 하드 추가 1. partition 2. file system (포멧) 3. mount storage 관리-2 4. LVM 5. VMware 머신 생성 시 파티션 설정 storage 관리-3 6. Quota > - LVM(Logical Volume Manager) 사용자가 직접 disk를 제어 하지 않고 중간에 NVM 계층을 이용해서 디스크 제어를 하는 방식이다. 리눅스 디스크 확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. (Server 가 전기적 작동 중에 하드 추가가 불가능 한 점 등을 극복하여 계속 확장이 가능하게 한다.) 현재 리눅스 설치 시 기본옵션이다. ( ※하지만 .. 2022. 11. 1. Storage 관리-1 (partition - format - mount) 이번 포스팅은 Linux Storage(디스크) 관리에 관한 내용입니다. 목차 storage 관리-1 0. VMware 하드 추가 1. partition 2. file system (포멧) 3. mount storage 관리-2 4. LVM 5. VMware 머신 생성 시 파티션 설정 storage 관리-3 6. Quota > 아래와 같이 centOS7 클릭 - virtual Machine Settings - add - Hard Disk 를 해서 Storage를 추가해 보자. 원하는 용량 만큼 할당 가능하다. 버츄얼 머신을 생성할때 처럼 용량 동적 할당을 할 것인지, 싱글 파일로 만들 것인지 여부를 묻는다. 편의를 위해 고정할당, 싱글 파일을 고르려면 아래와 같이 세팅하면 된다. 아래와 같이 10G 하드.. 2022. 10. 31. 파일 속성 분석 (권한) -특정 파일 ,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기능 # chmod [권한] [경로/파일명 또는 디렉터리명] 위쪽의 [권한] 에 대한 내용 # r (read) .파일 = 해당 파일안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. .디렉터리 = 해당 디렉터리안의 파일 및 디렉터리 정보를 볼수 있는 일부 권한 (ls -l) chmod 8진수 값은 4 # w (write) .파일 = 해당 파일안의 데이터를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권한 .디렉터리 = 해당 디렉터리와 그 하위의 파일 및 디렉터리의 생성 및 병경 , 삭제할수 있는 권한 chmod 8진수 값은 2 # x (excute) .파일 = 파일에 'x' 권한이 없으면 일반 문서파일을 의미하며 'x' 권한이 있으면 실행파일을 의미한다. root 계정이나 일반 사용.. 2022. 10. 31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