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에 이어서 package 관리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.
목차
package 관리-1
1. yum 설치
2. rpm 설치
package 관리-2
3. source 설치
4. Bash shell 스크립트 작성
package 관리-3
5. local Repository
<< 5. local Repository >>
local Repository 구성하기
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의 경우 yum 명령어를 사용하는게 불가능하다.
이런 경우 -내부망- Local Repository를 구성해서 활용할 수 있다.
Local Repository 구성 후 http로 서비스를 하면 내부 직원들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.
1. wiki.centos.org 에서 x86_64 everything Version 을 다운로드 한다.
왜 다운받냐면, 이 안에 기본 설치파일들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레포지토리 만들때 쓸 수 있다.
2. Package 저장용 디렉토리 생성
# mkdir /repo
3. centOS everything 버젼 cdrom 삽입 후 Mount
# mkdir /media
# mount /dev/sr0 /media
4. 그 안에 패키지 파일들을 /repo 디렉토리로 복사
# cp /media/Packages/* /repo/ &
참고로 위 작업이 매우 길어서 bash 할당량을 다잡아먹어서 그동안 다른 명령어를 못쓴다.
이를 극복하기 위해 명령어 입력 시 & 옵션을 써서 프로세스 작업 목록에 포함시키는게 좋다.
jobs 명령어를 통해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.
(jobs %1 : 1번 작업을 확인한다.)
5.파일 복사 확인
# ls -l /repo | wc -l
6. createrepo 패키지 설치
# yum install -y createrepo
또는
createrepo 설치파일을 구해왔다는 가정 하에
(예를 들어 인터넷 되는 환경에서 yum으로 설치파일 다운 받고
/var/cache/yum/x86_64/7/base/packages/ 가서 파일을 옮겨오자.)
# rpm -ivh 로 연관성 파일까지 4개 패키지 설치
7. 기존 리포지토리 백업 및 이동
# mkdir /etc/yum.bak 백업 디렉토리 생성 후에
# mv /etc/yum.repos.d/* /etc/yum.bak 기존 레포지토리 구성 파일을 이동시킨다.
8. Local Repository 구성 파일 작성
# vi /etc/yum.repos.d/Local.repo
[rpm]
name=localRepository
baseurl=file:///repo (웹 페이지에 띄우고 싶다면 http로)
enabled=1
gpgcheck=0
:wq
9. 레포지토리 생성
# createrepo /repo
10.
레포지토리 확인
# yum repolist
레포지토리 정리 Local (잘 안씀)
#yum clean all
#rm -rf /var/cache/yum
잘 완성 되었나 인터넷을 끊어보고 패키지 설치 테스트를 해보자.
# yum install -y dhcp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cky 리눅스 설치 (0) | 2022.11.08 |
---|---|
DHCP -Linux server (0) | 2022.11.08 |
Package 관리-2 (Source, 스크립트, Ncloud) (0) | 2022.11.07 |
Package 관리-1 (yum, RPM) (0) | 2022.11.02 |
storage 관리-3 (Quota) (0) | 2022.11.01 |